퇴사 후 필수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하는 법
회사를 다닐 때는 직접 4대 보험을 납부하지만 퇴사 후에는 상황이 달라진다. 본인이 계속 납부하거나 혹은 부모님 밑으로 피부양자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자동으로 피부양자로 등록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본인 납부로 계속 남아있기 때문에 바로 재취업할 게 아니라면 확인해서 피부양자로 바꾸어 놓는 게 유리하다. 일단 내가 피부양자인지 아닌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다. 건강보험 홈페이지 메인 화면이 최근에 바뀌었기 때문에 아래 이미지들을 참고하면 더 빨리 메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his.or.kr/nhis/index.do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가 2024년 5월을 기준으로 새롭게 개편되었다. 그동안 메인 화면에 너무 많은 버튼이 노출되어 있어 심플하게 바꿨다고 하는데, 당장은 너무 심플해져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조금 헤맸다. 앞으로 적응이 필요한 부분이다.

2. 우측 상단의 메뉴를 통해 로그인
로그인을 먼저 하는 걸 추천한다. 메뉴를 눌러도 어차피 로그인을 해야하고, 로그인을 한 후에 다시 처음부터 메뉴를 다시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더 번거로워진다. 간편 인증 로그인을 하면 네이버나 카카오톡 등으로 손쉽게 인증할 수 있다.
간편 인증 로그인 가능한 수단
NH인증서, 국민인증서, 네이버, 뱅크샐러드, 삼성패스, 신한인증서, 토스, 페이코, 하나인증서, 카카오톡, 통신사PASS, 모바일신분증, 카카오뱅크, 드림시큐리티, 우리은행

3. 민원 여기요 – 개인 민원 – (메뉴 아래 쪽으로 이동) – 자격 조회 – 자격 사항 선택
순서대로 하위 메뉴를 찾아 들어가 최종적으로 ‘자격 사항’ 이라는 메뉴를 찾아 들어가면 된다.

4. 결과 확인
아래 이미지처럼 결과에 본인으로 나올 경우에는 계속해서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상태이므로 피부양자로 등록하기를 원할 경우 별도로 신청을 해야 한다.
